경제학 알기21 수요와 공급의 균형 그리고 안정 그리고 가격의 결정 1. 수요와 공급의 균형(equilibium)이란? 균형(equilibium)은 더 이상 다른 상태로 변화할 이유가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시장 균형이란 시장 수요와 시장 공급이 일치하는 상태입니다. 시장에서의 균형인 상태에서의 가격과 거래량에 관해서는 균형 가격, 균형 거래량이라고 합니다. 시장 가격이 균형 가격보다 높을 때는 시장의 공급량이 수요량보다 많아서, 초과공급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초과공급으로 시장 가격은 하락하고 가격이 하락하면 그에 따라 수요자는 더 많은 수요가 발생하게 됩니다. 반면 공급자는 공급량을 줄이게 되므로 초과공급은 해소되어 시장 가격은 원래 균형점으로 복귀합니다. 시장 가격이 균형 가격보다 낮을 때는 시장에서는 초과수요가 발생합니다. 시장 가격이 상승하게 됩니다. 시장 .. 2022. 7. 16. 공급의 개념과 공급의 결정 요인, 공급곡선 1. 공급의 정의 공급(supply)은 생산자가 일정한 기간 동안 재화를 판매하고자 하는 욕구입니다. 공급은 수요와 같이 일정기간을 기준으로 하여 하는 측정된 유량으로, 의도하는 판매량입니다. 실현된 판매량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2. 공급의 결정요인 (1) 구매 의사가 있는 재화의 가격 재화의 가격이 상승하면 공급량은 증가합니다. 재화의 가격이 하락하면 공급량은 감소합니다. 가격을 제외한 다른 조건이 동일할 때, 생산자의 관점에서는 가격이 상승하면 더 많은 이익을 위해 더 많은 양을 생산하고자 합니다. 가격이 상승하면 공급이 증가하고, 또 가격이 하락하면 공급이 감소하는 것을 공급의 법칙이라고 합니다. (2) 다른재화의 가격 재화 B의 가격이 생승하면, 재화 B의 생산자는 더 많은 생산요소를 투입하여 B.. 2022. 7. 13. 시장에서의 수요, 수요의 결정 요인, 수요곡선 수요의 정의 수요(demand)는 소비자가 일정기간 동안 재화를 구매하고자 하는 욕구를 말합니다. 수요는 '일정기간 동안'의 변화량을 의미하기 때문에 유량(flow)의 개념입니다. 이와는 달리 일정 시점에 측정한 량은 저량(stock)이라고 합니다. 즉 유량은 시간에 따른 변화를 의미하며, 저량은 일정 시점에서의 양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한 달 동안의 물 소비량은 유량이지만, 15일에 물 소비량은 저량이 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수요는 실현된 욕구가 아니라 의도된 욕구를 의미합니다. 12월 한 달 동안의 소비자들의 케이크 수요는 케이크를 얼마나 구매하고자 하는 것이지, 실제 구매량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실현 가능성이 있는 구매욕구 또는 구매력이 있는 사람들의 욕구는 유효수요(effective dema.. 2022. 7. 13. 20C 경제 사상, 정부의 개입주의와 정부의 비개입주의 정부의 개입주의 주장: 케인즈, 케인스 혁명, 케인즈 학파, 새케인즈학파 1929년 세계대공황(The Great Depression)이 일어났습니다. 이는 자본주의에서 신고전학파가 제시한 완전고용 하의 장기 발전과정이라는 논의에 회의를 불러일으켰습니다. 이후 1936년 케인즈(John M. Keynes, 1883-1946)는 고용, 이자 및 화폐의 일반이론(The General Theory of Employment, Interest, and Money)을 출간했습니다. 이러한 케인즈의 일반이론에 입각한 경제사상의 변혁을 케인즈 혁명이라고 합니다. 케인즈는 자본주의 경제는 성장할수록 생산에 비해 유효수요가 부족해 경기침체를 겪게 된다고 주장하면서, 정부의 적극적 개입으로 경제안정화에 기여해야 한다고 보았습.. 2022. 7. 11.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