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2

20C 경제 사상, 정부의 개입주의와 정부의 비개입주의 정부의 개입주의 주장: 케인즈, 케인스 혁명, 케인즈 학파, 새케인즈학파 1929년 세계대공황(The Great Depression)이 일어났습니다. 이는 자본주의에서 신고전학파가 제시한 완전고용 하의 장기 발전과정이라는 논의에 회의를 불러일으켰습니다. 이후 1936년 케인즈(John M. Keynes, 1883-1946)는 고용, 이자 및 화폐의 일반이론(The General Theory of Employment, Interest, and Money)을 출간했습니다. 이러한 케인즈의 일반이론에 입각한 경제사상의 변혁을 케인즈 혁명이라고 합니다. 케인즈는 자본주의 경제는 성장할수록 생산에 비해 유효수요가 부족해 경기침체를 겪게 된다고 주장하면서, 정부의 적극적 개입으로 경제안정화에 기여해야 한다고 보았습.. 2022. 7. 11.
근대경제학의 성립과 발전, 한계효용학파와 제도학파 한계 혁명, 한계효용 학파 한계 혁명(marginal revolution)은 한계 개념을 활용해 새로운 경제분석 틀을 제시한 혁명을 말합니다. 19C 내내 자본주의 경제에 관해 고전학파 경제학자와 마르크스 경제학자들의 논쟁이 불붙었습니다. 경제학자 사이에서는 조용한 혁명이 이뤄지고 있었습니다. 이 시기 이론적 성과는 그 속도는 빠르지 않았으나 경제학에 미치는 영향은 혁명적이었습니다. 이른바 한계 혁명이고 할 수 있습니다. 19C 빈부격차에도 불구하고 노동생산성이 증가했으며, 경제도 지속적인 성장이 이뤄졌습니다. 자본주의와 자유경제에 따른 모든 계급의 생활수준이 향상되었습니다. 영국의 케임브리지학파의 제본스(W. Stanley Jevons, 1832-1882), 오스트리아 학파의 멩거(Carl Menger.. 2022. 7. 11.
마르크스가 주장한 자본주의 붕괴론과 그 평가 1. 마르크스의 자본주의 붕괴론 마르크스는 자본주의 붕괴론을 제시했습니다. 마르크스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본가는 단지 인격화된 자본이고 보고 잉여가치만을 추구하는 존재로 상정합니다. 자본가는 잉여가치 획득을 위해 자본가들 간 경쟁이 심화되고 경쟁에서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 보다 많은 투자를 하게 됩니다. 아담 스미스와 같이 투자가 증가하면 고용이 증대된다는 것은 동일합니다. 하지만, 고용증대에 따른 임금인상과 생활수준 향상, 인구증가 그리고 생존임금으로 환원된다고 주장하는 아담 스미스의 주장에 관해 마르크스는 동물적 논리라며 격렬히 비판합니다. 첫 번째, 노동을 기계로 대체 고용의 증가에 따라 임금이 상승하면 자본가는 고용을 늘리는 것이 아니라, 노동을 기계로 대체합니다. 마르크스는 기계는 잉여가치를 낳지.. 2022. 7. 11.
자본주의 경제에 관한 비판론 마르크스와 역사학파 리스트 19C 초 아담 스미스 이후 유럽을 풍미하던 이기심과 경쟁을 따른 이익 추구와 같은 자본주의 사회 원리에 관한 비관적인 주장들이 제기되었던 시기였습니다. 마르크스는 그들에 대해 공상적 사회주의자(Utopian Socialist)로 불렀습니다. 공상적 사회주의자들은 재산을 공유해 이상적인 공동체 사회를 실현하고자 했던 온건파 사회주의자였습니다. 대표적인 사상가로는 오웬(R. Owen, 1771-1858), 상 시몽(Saint Simon, 1760-1825), 푸리에(C. Fourier, 1772-1837)가 있습니다. 이기심에 따른 인간은 타락한다고 보고 모든 소유의 공유화를 주장했습니다. 각각 다른 지역에서 공동으로 일하며, 공동으로 소유하는 공동 부락을 만들어 이상적 공동체 사회 실현을 몸소 실천했습니.. 2022. 7.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