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학 알기21

한계효용이론에 근거한 소비자 균형의 조건, 예산제약에서 소비자의 효용극대화 원리와 그 비판 소비자는 소득 범위 내에서 어떻게 자신의 효용을 극대화하는 소비를 할 수 있을까? 이를 분석하는 것이 소비자균형입니다. 소비자 균형이란 주어진 소득으로 소비자가 자신의 효용 극대화를 위해 어떠한 재화를 어느 정도 구매하고 소비하는 것이 적절한지를 분석하는 것입니다. 개별 소비자의 소비자 균형이지 전체 소비자의 소비자 균형이 아닙니다. 동일한 소득을 갖고 있더라도 개별 소비자에 따라서 재화에 대한 효용이 각각 다를 것이기 때문입니다. 예산 제약 소비자 균형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경제적 의사결정에 가장 큰 요소인 예산 제약을 알아야 합니다. 예산 제약(budget constraint)은 현재 자신이 가진 예산 범위 내에서 경제적 의사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제 소비자 제니의 소비자균형을 보겠습니다.. 2022. 9. 16.
경제학의 혁명, 한계효용이론: 한계효용, 한계효용체감의 법칙 경제학의 혁명으로 불리는 이유는? 한계효용이론은 19세기를 풍미한 이론입니다. 왜 한계효용이론을 경제학의 혁명이라 할까요? 한계효용이론 이전의 경제학은 공급 중심 노동가치에 초점을 두었습니다. 한계효용이론의 등장으로 수요중심의 효용가치로 그 중심점이 이동했습니다. 이로써 수요와 공급의 중심의 근대 경제학이 태어나게 됩니다. 이제 한계효용이론을 소비자 선택에 적용해 보려고 합니다. 제한된 예산제약에서 소비자는 어떻게 재화를 구매하는 것이 효용극대화를 가져올까요? 이 질문에 답을 찾기 위해 우선, 효용의 개념, 한계효용이 무엇인지 알아 보도록 합시다. 효용, 한계효용은 무엇인가? 효용(utility)은 '재화나 서비스로부터 얻는 만족감'입니다. 공리주의 창시자 벤담(J.Bentham, 1748~1832)이 .. 2022. 9. 14.
경제학의 연구질문과 기초개념 경제학이란 무엇을 탐구하는 학문일까? 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경제학의 연구 질문 경제학(economics)은 경제주체들이 희소한 자원(scarce resourses)을 활용하는 방법에 관한 학문입니다. 그 목적은 인간이 가진 무한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함에 있습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질문과 관련이 있습니다. 첫 번째, 어떤 재화를 생산할 것인가? 두 번째, 어떻게 자원을 활용해 생산할 것인가? 세 번째, 경제주체 상호 간에 생산된 재화를 어떻게 분배할 것인가? 그럼 각각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첫 번째, 어떤 재화를 생산할 것인가? 개인이 필요한 모든 것을 생산할 수 없습니다. 시간, 자본, 노동 등과 같은 자원들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무엇을 생산할 지에 관한 .. 2022. 9. 8.
조세귀착, 조세부과에서 조세전가 그리고 조세부담 1. 조세 귀착(tax incidence) 조세 귀착(tax incidence)이란 실질적으로 조세부담을 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시장에서 거래되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조세가 부가되면 과연 누가 실질적으로 납부하게 되는 것일까? 일반적으로는 조세 부담자와 조세 납부자가 일치하지 않습니다. 조세부담이 소비자와 공급자에게 옮겨지는 것을 조세의 전가라고 합니다. 전가되어 실제로 조세를 부담하게 되는 것을 조세의 귀착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물품세를 보겠습니다. 물품세는 공급자가 상품을 판매할 때, 판매 가격에 포함하여 소비자에게 징수한 후 판매자가 국세청에 납부합니다. 물품세의 형식적인 납부자는 판매자이지만, 실질적인 부담자는 소비자입니다. 그러나 엄밀히 분석한다면, 물품세의 실질적인 부담은 재화의 특성에 따른.. 2022. 9.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