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학 알기

수요의 가격탄력성의 의미와 산출방법, 수요곡선 이해

by 지(知)지(智)함(咸) 2022. 7. 18.
반응형

1. 수요의 가격탄력성 산출방법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어떻게 산출할 수 있을까?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가격변화율에 대한 수요량의 변화율로 계산합니다.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음(-)의 부호를 붙입니다. 이는 수요의 법칙에 따르면 가격이 상승하면, 수요량은 감소하게 됩니다. 이를 산출하면 음(-)의 값이 산출하게 됩니다. 수요의 가격탄력성을 양(+) 값으로 표현하는 관례에 따라 산식에 음(-)의 부호를 붙인 것입니다. 

 

점탄력성 

점탄력성을 구하는 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동일한 수요곡선 위에서 점 A와 점 B의 좌표를 다음과 같이 가정할 때,

점A좌표 (수요량(Q1), 가격(P1)),  점B의 좌표 (수요량(Q2), 가격(P2))

점A와 점 B 사이의 탄력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수요곡선은 가격이 변화할 때, 수요량의 변화를 보여줍니다. 위의 산식에서 볼 때 수요곡선의 기울기와 탄력성 간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수요곡선의 기울기는 곡선 위에서의 두 지점 간의 '변화량'의 비율입니다. 곡선의 탄력성은 곡선 위에서 두 지점 간의 '변화율'의 비율입니다. 기울기가 완만할수록 기울기의 절댓값이 작습니다. 그 기울기 값의 역수의 절댓값은 커집니다. 대략, 기울기가 완만할수록 탄력성이 크며 기울기가 가파를수록 비탄력적입니다.

정리하면, 수요곡선의 형태에 따라 탄력성이 달라집니다. 가격에 따라 수요가 변화할 때 그 변화량이 크면 탄력성이 크다라고 해석하며, 변화량이 크지 않으면 탄력성이 작다고 해석합니다. 수요곡선이 가격에 관계없이 일정한 수요량을 가지면, 그래프는 수직선 형태로 나타나며 수요의 탄력성은 완전 비탄력적이라고 해석합니다. 수요곡선이 수량에 관계없이 가격의 변동이 없다면, 그래프는 수평선으로 나타납니다.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완전 탄력적이다라고 해석합니다. 수요곡선의 기울기가 클수록 비탄력적이게 가깝게 되며, 기울기가 작을수록 탄력적입니다.

원점 O에 대해 볼록한 수요곡선 위에서 어느 지점에서나 탄력성이 동일하여 1이면 단위 탄력적(unit elasticity)이라고 합니다.

2. 수요의 가격탄력성의 의미 

그렇다면, 예시를 통해서 수요의 가격탄력성을 이해해봅시다.

학교 앞 떡볶이 집이 가격을 10% 인상했습니다. 식당의 수입액(매출액)은 증가할까? 아니면 감소할까? 이 질문에 관한 대답은 학교 앞 떡볶이 집 메뉴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요의 가격탄력성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 가게의 매출은 분식 가격 곱하기 판매량으로 산출할 수 있습니다. 우선 분식 가격이 상승했으므로 매출은 증가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반면 판매량은 가격 상승으로 인해 수요량이 감소할 경우에 총매출액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즉 가격 인상에 따른 매출액이 증가하느냐 감소하느냐는 가격 상승과 수요 감소 중 어느 요인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떡볶이 수요에 대한 가격탄력성이 1보다 크다면, 수요는 탄력적입니다. (가격에 따라 수요가 변화량이 큽니다) 가격이 10% 상승하는 것에 비해 수요의 감소는 10%보다 크기 때문에 총매출액은 감소합니다. 떡볶이 수요에 대한 가격탄력성이 1보다 작다면, 수요는 비탄력적입니다. (가격이 상승해도 수요의 변화가 크지 않습니다). 가격의 10% 상승보다 수요량의 감소는 10%보다 작기 때문에 총매출액은 이전보다 증가합니다. 탄력성이 1이라면, 가격 상승률과 수요 감소율이 동일하기 때문에 총매출액의 변화는 없습니다. 여기서의 핵심은 판매자가 자신이 판매하는 제품의 가격을 올릴 것인가? 또는 내릴 것인가?를 결정할 때,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판매자 자신이 판매하고 있는 재화가 소비자들에게 가격탄력성이 1보다 큰 재화인가 아닌가입니다. 가격탄력성에 관한 판단을 위해서는 재화에 대한 소비자 취량, 경쟁 업장 유무, 대체재의 존재 유무 등의 시장조사가 요구됩니다.   

 

3. 수요곡선 이해 

수요곡선은 여러 형태가 있습니다. 곡선인 형태도 있고, 하나의 일정한 값을 가지는 수직선 형태(가격이 변화와 관계없이 수요량은 일정), 수평선 형태(수요량의 변화에 관계없이 가격이 일정)도 있습니다.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는 직선인 형태도 있습니다. 일정한 기울기를 가진 직선일 경우에는 수요곡선의 중간점에서 탄력성이 1이되며, 그 위쪽은 탄력적, 아래쪽은 비탄력적이 됩니다. 왜냐하면, 기울기는 동일하나 수요량의 변화(두 수요량의 평균)에 대한 두 가격의 평균(두 가격의 평균) 값이 위에서 아래로 이동할수록 작아지기 때문입니다. (수요곡선은 우하향 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성립한다는 것을 꼭 알아두세요!) 

 

 

 

 
 
 

 

반응형

댓글